코딩 책공부16 Console.WriteLine 메소드 Console.Write() 와 Console.WriteLine() 메소드는 하나의 변수나 값을 출력할 때는 어떤 자료형 이라도 출력이 가능하다. 이것은 이 메소드가 여러가지 자료형에 대해 중복(overload)되어 있기 때문이다. using System; namespace _036_A007_ConsoleWriteLIne {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bool b = true; char c = 'A'; decimal d = 1.1234m; double e = 1.23456789; float f = 1.23456789f; int i = 1234; string s = "Hello"; Console.WriteLine(b); Cons.. 2024. 3. 26. 대입연산자와 대입문 코딩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글자는 아마 '=' 일 것이다. 수학에서는 등호 이고 "같다" 라는 뜻이지만 코딩에서는 =는 같다 라는 뜻이 아니다. 만약 x = 1 이라면 수학에서는 x 와 1이 같다 라는 뜻이된다. 하지만 코딩에서는 x = 1의 뜻은 x에 1을 넣어라 라는 뜻이다. 여기서 값과 곳이라는 말이 중요하다. '='의 오른쪽은 값, 왼쪽을 곳 을 의미한다. 즉 '=' 표시의 오른쪽을 rhs(right hans side) value, 왼쪽을 lhs(left hand side) identifier(식별자) 라고 한다. 여기서 중요한것은 rhs는 변수, 값, 수식 등이 올 수 있지만 lhs는 변수만이 올 수 있다는 것이다. 자주 나오는 표현들 중 x = x + 1; 이라는 문장이 있다. 이 문장은 수학.. 2024. 3. 26. 문자와 문자열 기본 데이터 형식 중 하나인 char는 영문자, 숫자, 한글 등 UTF-16으로 코딩된 문자 하나를 저장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har는 'A', '1', '가' 와 같은 값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문자 하나를 표시하는 방법은 홑 따옴표, 즉 single quote(') 를 사용하는 것이다. C#뿐 아니라 많은 코딩 언어에서 A와 'A'와 "A"는 완전히 다른 의미를 갖는다. 'A'는 문자 char, "A"는 문자열 string 을 의미한다. C#에서 한글도 변수명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가, '가', "가" 도 마찬가지고, 1과 '1'과 "1"도 완전히 다르게 처리된다. 1은 숫자 '1' 는 문자(char)과 "1"은 문자열(string) 이다. 문자 하나보다는 여러 문자들이 모여야 의미를 갖.. 2024. 3. 24. 변수 선언 및 자료형 C#을 비롯한 모든 코딩 언어에서는 변수는 값을 저장하는 곳을 가리킨다. 컴퓨터에서 모든 데이터는 메모리의 특정 위치에 저장되기 때문이다. 하나의 변수는 한 순간에 하나의 값을 저장하고 있으며, 이 값은 변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이 코딩을 하면, 첫 문장에서 x에는 1이라는 값이 저장되고, 두번째 문장에서 x값에 1을 더한 값, 즉 2가 저장된다. 따라서 x는 처음에 1이라는 값을 가지고 있다가 2라는 값으로 바뀌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변수, 즉 변하는 수라는 것이다. x = 1; x = x + 1; 코딩에서 변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변수에 값이 한 번 할당되면 다시 할당될 때까지 그 값을 유지한다. 변수의 값은 언제든지 새로운 값으로 할당할 수 있다. 변수에 새로운 값이 할당되면 이.. 2024. 3. 24.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