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인간의 요청에 노랫말부터 시나 소설까지 만들어 주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이는 미국의 오픈 AI가 개발한 대화형 AI챗봇 챗 GPT입니다 다. 또한 요청한 노래부터 시나 소설까지 표절이 아닌 실제 GPT가 지어낸 겁니다. 심지어는 영화의 제목부터 게임개발까지...
그렇다면 AI가 인간을 완전하게 대체가 가능 할까요???
실제 이 질문을 챗 GPT에게 하였을 때 챗 GPT는
"인공지능은 일부 업무를 자동화하고 수행할 수 있지만, 인간의 모든 역할을 대체할 수는 없습니다. 인공지능은 특정 작업에 대해 높은 수준의 정확도를 보이지만, 인간이 가지는 직관, 융통성, 창의성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라고 답했습니다. 하지만 확실한 한 가지는 이미 우리와 자연스러운 대화 정도는 가능할 만큼 발전을 했다는 것입니다.
오픈 AI가 챗 GPT를 공개한 지 약 닷새만에 100만 이용자를 확보하기도 했습니다. 100만 이용자를 확보하는데 트위터 약 2년, 유튜브 약 8개월 인스타그램 약 2개월 이 걸린 것과 비교를 한다면 엄청난 확장세를 보이고 있는 추세입니다.
이에 글로벌 IT공룡들도 챗 GPT에 대해 경계를 하고 있기도 합니다. 뉴욕 타임스의 경우에는 챗 GPT가 google의 세계적인 검색 포털 점유율도 대체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보고 있습니다.
이에 어쩌면 사람 같은 느낌도 있는 게 사실이지만, 챗 GPT는 "안타깝지만, 구글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검색 엔진입니다. 그들은 수년간 많은 연구와 개발을 통해 검색 기술을 발전시켰습니다. 따라서 구글보다 뛰어난 검색 엔진이 있다는 것은 어렵습니다." 라며 겸손(?)을 떨기도 했습니다.
또 한편 IT업계에서는 현시점에서 바라 봤을 때 챗 GPT의 경우 정보전달의 방식이 불분명한 출처와 때때로 잘못된 답을 제공하는 반면, 구글의 경우 사용자들이 직접 출처를 확인하고 정보를 습득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신뢰도 측면에서 분명한 차이가 난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오픈 AI가 점점 발전함에 따라 오픈 AI의 검색 기반 역시 구글의 GPT모델에 기반하고 있기 때문에 검색 엔진으로써 무수한 가능성을 보입니다.
한편 오픈 AI는 2015년 일론머스크, 샘 알트만 등의 주도로 설립이 됐으며 MS를 주요 투자자로 둔 오픈 AI기업니다. 현재 기업가치로 200억 달러로 추정됩니다.
오픈 AI라는 챗봇 시장에서 구글도 뛰어들고 있고, MS도 뛰어들고 있습니다.
구글의 경우 지난 9월 스패로우를 개발했고, 스패로우는 직접 구글링을 통해 링크와 함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출처가 불분명한 챗 GPT와는 차별이 되는 기능입니다.
MS도 검색엔진 빙을 통해 GPT 도입을 발표했고 세계최대 오픈소스 코드 공유플랫폼인 깃허브를 인수했으며 오픈 AI를 통해 GPT를 사업화하며 구글에 밀렸던 검색엔진 시장에 또 다른 공룡이 되기 위한 발판을 마련한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GPT반도체 경쟁에 뛰어들었습니다. GPT에는 GPU라는 AI연산을 처리하는 그래픽처리장치를 사용하는데 GPT는 CPU코어를 단순화하고 수천 개로 늘려 그래픽 연산에 필요한 곱셈을 효율적으로 수행합니다. 명령어를 한 번에 하나씩 빠르게 수행하는 직렬 처리방식의 CPU와 달리 엄청난 데이터들을 병렬방식으로 처리하는 방식이어서 AI연산에 활용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GPU는 처음부터 AI연산을 위해 개발된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전력효율, 면적, 수행시간등 AI에 대한 최적화된 반도체는 아니라고 합니다. 이에 AI전용 반도체로 NPU(신경망처리장치)가 등장했습니다.
2016년 이세돌 9단과 대국을 펼쳤던 구글의 알파고는 엔비디아의 GPU 기반이었습니다.
이때의 GPU와 비교했을 때 NPU는 전력소모 또한 10분의 1로 줄어드는 등 엄청난 효율을 자랑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도 오픈 AI부터 AI반도체까지 발전을 하고 있지만 글로벌 시장에서는 어떤지 잘 모르겠습니다. 삼성전자가 AI반도체에서의 활약이 기대되는 건 사실이긴 합니다. 한창 세계 1위인 메로리의 수요가 줄어들고 파운드리가 급상승하는데 TSMC에 많이 미리고 있는 상황이기에... 좀 더 올라갔으면 하는 바람도 있습니다.
또 그에 비해 우리 빅테크 기업들 대표적인 네이버와 카카오 등.. 저도 아직 제대로 써본 적은 없지만 글로벌 시장에서 뒤처지지 않고 멋지게 더 발전한 국산 챗 GPT가 등장했으면 하는 바람도 가지고 있습니다.
'IT아이티 관련 > IT아이티 관련 뉴스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목받는 인공지능(AI)시장! (2) | 2023.01.27 |
---|---|
13년만에 호가단위 등 변화되는 증권시장 (0) | 2023.01.26 |
넥스트 마블을 꿈꾸는 K웹툰!! (0) | 2023.01.23 |
나와 똑 닮은 AI아바타! (0) | 2023.01.22 |
카카오엔터 고 장성락 작가의 나혼자만레벨업 외전 연재 (4) | 2023.01.21 |